매개 변수 (컴퓨터 프로그래밍)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매개변수(영어: parameter 파라미터[*])란 변수의 특별한 한 종류로서, 함수 등과 같은 서브루틴[1]의 인풋으로 제공되는 여러 데이터 중 하나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서브루틴의 인풋으로 제공되는 여러 데이터들을 전달인자(argument)라고 부른다. 보통 매개변수의 목록은 서브루틴의 정의 부분에 포함되며, 매번 서브루틴이 호출될 때마다 해당 호출에서 사용된 전달인자들을 각각에 해당하는 매개변수에 대입시켜 준다.
보통 수학에서 사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전달인자는 (log(37)에서 37과 마찬가지로) 실제로 함수 또는 루틴에 전달되는 값을 의미하며, 반대로 매개변수는 함수의 내부에서 해당 함수(앞의 예에서 log)로 전달된 값을 가리키기 위한 변수를 의미한다. 매개변수와 전달인자 단락 참조.
대부분의 경우 매개변수는 call by value의 형태로 동작하게 되며, 이 경우 서브루틴 내부에서 매개변수는 전달 인자를 복사한 독립적인 지역변수의 형태로 동작하게 된다. 반면 call by reference의 경우에는 서브루틴 내부에서의 동작이 이를 호출한 부분에서의 전달인자에까지 영향을 주게 된다.
매개변수가 어떻게 정의되는지와 전달인자가 서브루틴의 매개변수에 어떻게 전달되는지에 대한 구문은 각각의 프로그래밍 언어에 따라 정의되지만, 이것이 각각의 컴퓨터 시스템 내부에서 실제로 어떻게 구현되는지에 대해서는 해당 시스템의 호출 규약에 달려있다. ....
매개변수와 전달인자
종종 매개변수(parameter)와 전달인자(argument)는 적당히 섞어서 쓰이기도 하는데, 이 경우 문맥에 따라 의미를 달리해서 해석되기도 한다. 하지만 엄밀히 말해서 매개변수는 함수의 정의부분에 나열되어 있는 변수들을 의미하며, 전달인자는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되는 실제 값을 의미한다. 이같은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매개변수는 변수(variable)로, 전달인자는 값(value)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매개변수는 함수의 정의 부분에서 볼 수 있으며, 전달인자는 함수를 호출하는 부분에서 볼 수 있다. f(x) = x*x와 같은 함수 정의 부분에서 변수 'x'가 매개변수가 되며, f(2)와 같은 함수 호출 부분에서 값 '2' 가 함수의 전달인자가 된다.
각각의 매개변수는 함수의 정의 부분에 포함되어 있는 고유한 특성이다. 예를 들어, (대다수의 언어에서는) 입력으로 들어온 2개의 정수를 더해서 합을 계산해 주는 함수의 경우 정수 형태의 매개변수 2개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함수는 몇개의 매개변수를 가지든 상관없으며, 매개변수가 하나도 없을 수도 있다. 만약 함수가 매개변수를 가질 경우, 각각의 매개변수에 대한 정의를 나열해 놓은 것을 매개변수 목록(parameter list) 이라고 한다.
반면 전달인자는 함수가 호출될 때 제공되는 값들을 말하며, 함수 정의의 한 부분으로 바뀌지 않는 매개변수와는 달리 호출 할 때마다 값이 바뀔 수 있다. 함수를 호출하는 부분에서 전달인자를 나열해 놓을 것을 전달인자 목록(argument list) 이라고 한다.
매개변수 (컴퓨터 프로그래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매개변수(영어: parameter 파라미터[*])란 변수의 특별한 한 종류로서, 함수 등과 같은 서브루틴[1]의 인풋으로 제공되는 여러 데이터 중 하
ko.wikipedia.org
https://ko.wikipedia.org/wiki/%EB%A7%A4%EA%B0%9C%EB%B3%80%EC%88%98
매개변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매개변수(媒介變數), 파라미터(parameter), 모수(母數)는 수학과 통계학에서 어떠한 시스템이나 함수의 특정한 성질을 나타내는 변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θ라
ko.wikipedia.org
'매개변수(媒介變數), 파라미터(parameter), 모수(母數)는 수학과 통계학에서 어떠한 시스템이나 함수의 특정한 성질을 나타내는 변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θ라고 표현되며, 다른 표시는 각각 독특한 뜻을 지닌다. 함수의 수치를 정해진 변역에서 구하거나 시스템의 반응을 결정할 때는 독립변수는 변하지만 매개변수는 일정하다. 다른 매개변수를 이용해 함수의 다른 수치를 다시 구하거나 시스템의 다른 반응을 볼 수도 있다.
매개변수등식에서는 독립적 변수가 매개변수라고 일컬어진다.'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nav=&m_temp1=1661&id=1342
모수
Population Parameter 모수(2023-05-30)
www.ktword.co.kr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iotsensor&logNo=222182891116
Ⅵ. 통계적 추론(신뢰구간과 표본크기)
1. 개념 실제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학문적 연구에서 모집단의 성격을 모르는 상황에서 모집단의 성격을 규...
blog.naver.com
'매개변수와 인수의 차이점은 쓰임의 차이에 있습니다.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되는 변수를 매개변수, 실제로 함수가 호출될 때 넘기는 변수값을 인수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https://7942yongdae.tistory.com/155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수(Argument)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매개변수와 인수는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영어로는 Parameter(매개변수), Argument(인수)로 정의되고 쓰이는데요. 프로그래밍을 할 때 자주 쓰이는 용어인 만큼 명확하게 구분하
7942yongdae.tistory.com
Parameter 파라미터 파퓰러음악용어사전 & 클래식음악용어사전
매개 변수. 회로나 기계를 동작시킬 때, 조작 가능한 요소를 가리킨다. 간단한 예로 라디오의 음량을 변화시키는 볼륨 손잡이도 하나의 파라미터라고 할 수 있다. 신시사이저 등의 전자 악기에서는 음을 내기 위해 세팅하는 모든 요소의 하나 하나가 파라미터다. 따라서 신시사이저의 음색 메모리는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Parameter 파라미터 화학용어사전
수학에서는 함수관계 F(x, y)=0을, x=f(t), y=g(t)와 같이 표시하였을 때의 매개변수 t를 말한다. 그러나 어떤 경험식 y=f(x)를 최적으로 하기 위한 상수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Parameter 매개 변수 IT용어사전
어떤 함수의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사이에서 연관을 지어 주는 변수. x=t-1, y=t+1이라 할 때 x와 y 사이에는 y=x+2의 관계가 성립하므로 t가 매개 변수가 된다.
Parameter 파라미터 기계공학용어사전
조변수(助變數), 매개 변수(媒介變數)를 말하며, 일정한 조건하에서는 불변이나, 여러 가지 조건이 변하면 다른 값을 취하는 이중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특성치(特性植)를 말한다.
Parameter 매개 변수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몇 개의 변수사이의 함수관계를 간접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쓰이는 변수.
Parameter 매개 변수 천문학 작은사전
조변수, 파라미터와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