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곱근, 두 점 사이의 직선 거리, Vector, Scala 관련 링크2023.06.25
Square root 제곱근 수학에서, 어떤 수의 제곱근(제곱根,자승근, 영어: square root)은 제곱하여 그 수가 되는 수를 가리킨다. 실수의 범위에서만 보면, 모든 양의 실수는 서로 덧셈 역원인 두 제곱근을 가지며, 이 중 음이 아닌 하나를 주요 제곱근(主要제곱根, 영어: principal square root)이라고 한다. 그러나 0의 제곱근은 0뿐이므로 이를 주요 제곱근으로 삼으며, 음의 실수의 실수 제곱근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주요 제곱근을 정의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실수 9의 제곱근은 ±3이며, 이 중 주요 제곱근은 3이다. 또한 −4의 제곱근은 존재하지 않는다. 복소수의 범위에서 보면, 모든 0이 아닌 복소수는 서로 중심 대칭인 두 제곱근을 가지며, 이 중 편각이 원래의 반인 하나를..
Parameter 파라미터 매개변수, Argument 전달인자, 모수2023.06.221매개 변수 (컴퓨터 프로그래밍)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매개변수(영어: parameter 파라미터[*])란 변수의 특별한 한 종류로서, 함수 등과 같은 서브루틴[1]의 인풋으로 제공되는 여러 데이터 중 하나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서브루틴의 인풋으로 제공되는 여러 데이터들을 전달인자(argument)라고 부른다. 보통 매개변수의 목록은 서브루틴의 정의 부분에 포함되며, 매번 서브루틴이 호출될 때마다 해당 호출에서 사용된 전달인자들을 각각에 해당하는 매개변수에 대입시켜 준다. 보통 수학에서 사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전달인자는 (log(37)에서 37과 마찬가지로) 실제로 함수 또는 루틴에 전달되는 값을 의미하며, 반대로 매개변수는 함수의 내부에서 해당 함수(앞의 예에서 log)로 전달된 값을 가..
matrix 행렬, row, column2023.05.29matrix 행렬 1개 이상의 수나 식을 직사각형의 배열로 나열한 것을 말한다. 이때, 가로줄을 행(行, row), 세로줄을 열(列, column)[1]이라고 부른다. 행렬은 아서 케일리와 윌리엄 로원 해밀턴이 발명했으며, 역사적으로 본다면 행렬은 '연립일차방정식의 풀이를 어떻게 하면 될까?'라고 고민한 데서 시작했다. 아서 케일리가 연구하던 중에 행렬식의 값에 따라 연립방정식의 해가 다르게 나오는 것을 보고 이것이 해의 존재 여부, 즉 행렬의 가역 여부(invertibility)를 판별한다는 관점에서 determinant라고 부른 데서 행렬식이 탄생했고, 윌리엄 로원 해밀턴이 '야, 그러면 연립 방정식의 계수랑 변수를 따로 떼어내서 쓰면 어떨까?'라는 생각에서 행렬이 탄생했다. 즉, 역사적으로 보면 행..
선형대수학 linear algebra 벡터, 행렬, 차원, 스칼라곱, 복소수2023.05.29linear algebra, 線形代數學, 선형대수학 벡터공간(선형공간이라고도 한다) 및 그 1차변환에 관한 이론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부문이다. 즉, 벡터공간에 대해서 부분공간, 직합(直合)의 문제, 원소 사이의 1차변화·1차종속·차원·기저(基底) 등을 생각하고, 다시 사상(寫像:함수)을 정의하여 선형사상이나 선형교환 고유값의 문제 등 많은 내용을 고찰한다. 역사적으로는 1850년경의 행렬 및 행렬식론에서 발생하고, 1940년경에 이르러 통일적인 체계가 이루어졌다. 문자 그대로 대수학의 한 부문으로도 생각되나, 벡터를 다루는 데서 기하학이나 역학과도 관계가 있다. 여기서 정의되는 벡터란 널리 선형연산(線形演算)이 가능한 것을 말하며, 미분방정식·적분방정식·함수공간 등 해석학의 여러 부문을 비롯하여 수학의..
이산수학 Discrete Mathematics 경우의 수, 논리, 트리 구조 , bool2023.05.291Discrete Mathematics 이산수학 이산수학은 연속적(continuous)이 아닌 불연속(discrete) 객체를 다루는 수학의 한 분야 예를 들어, 미적분학은 주로 연속적인 대상을 다루며 이산수학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이산수학에서는 컴퓨터 과학에서 필요로 하는 수학적 토대를 제공함 discrete objects의 예: - 정수 -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각 단계 - 도로망에서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동하는 서로 다른 경로 - 로또복권에서 당첨이 될 경우의 수 이산수학으로 해결하려는 다양한 문제들 - 논리적인 사고를 통한 상황의 논리적 분석 - 다양한 증명 방법을 통한 엄밀한 증명 - 그래프를 통한 통신 네트워크의 분석 - 행렬과 행렬식을 통한 일차 방정식의 수립과 해법 - 부울 대수와 스위치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