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컴퓨터과학과 현상학 (아님)2025.10.22GPT는 어투 자체가 거짓말스럽다 ㅋ요즘 소설을 자주 써서 그런가;이야기는 아주 잘 지음.. 그런데 약간 술자리 2, 3차 이야기 같다는.. GPT: 겉으로는 철학과 공학이 전혀 다른 길을 걷는 것처럼 보이지만,현대 컴퓨터과학의 가장 근본적인 개념들 — ‘추상화’, ‘표상’, ‘관찰자’, ‘객체’, ‘의도성’ — 은모두 현상학적 사고에서 출발했다고 말할 수 있다.1. 현상학의 핵심 ― “존재는 인식 속에서만 드러난다.”에드문트 후설(Edmund Husserl)은 이렇게 말했다.“사물은 그 자체로 존재하지 않는다.오직 의식에 나타나는 방식(현상) 으로만 존재한다.”즉, 우리는 사물을 ‘있는 그대로’가 아니라,우리 인식이 구성한 방식대로 본다.이걸 의도성(intentionality) 이라 부른다 —모든 의..
임베딩 공간에서 (0, 0)은 무슨 뜻인가?2025.10.22https://www.aiweirdness.com/welcome-to-word-vector-space-19-03-29/ Welcome to Word Vector SpaceOn this blog I’ve posted a lot about neural networks and other machine learning algorithms. Unlike other kinds of computer programs, they don’t rely on step by step instructions from a programmer - instead, they’re given a goal, like a score to maximwww.aiweirdness.com☞ 추후 이 링크랑 github 살펴볼 것 ☜ 이 질문 위..
어텐션 시티의 탄생2025.10.22글, 표지 GPT-5🌌 《어텐션 시티의 탄생》1. 서막 ― 혼돈의 도시그 도시의 이름은 SeqTown이었다.수많은 단어들이 행진처럼 이어진 도시.문장 하나가 도로였고, 문단은 대륙이었다.이 도시는 오래도록 RNN 왕국이 다스려왔다.왕국의 군대는 질서정연했다.단어 병사들이 한 줄로 늘어서서,“첫 번째 단어가 끝나야 두 번째 단어가 움직인다.”그것이 그들의 법이었고, 전통이었다.하지만 세상은 변하고 있었다.문장들은 길어지고, 문맥은 멀리 이어졌다.앞줄의 병사가 뒤줄의 의미를 잊어버리는 일이 잦았다.왕국의 연산 속도는 느려졌고,기계들은 피로에 찌들었다.그때 나타난 젊은 혁명가가 있었다.그의 이름은 Attention.그는 외쳤다.“이제 더 이상 한 줄로 설 필요는 없어!모두가 서로를 바라보면 되잖아.”2. 혁..
기계의 심장 - 하나의 컴퓨터가 깨어나는 이야기2025.10.20글, 표지 GPT-5 밤은 깊었고, 방 안에는 고요히 빛나는 한 줄기 푸른 불빛만이 있었다.그것은 전원 버튼이었다.찰나의 떨림, 그리고—세상은 전류의 물결로 깨어났다.1. 중앙의 왕 ― CPU기계의 중심에는 한 명의 왕이 있었다.그의 이름은 CPU,수많은 계산과 명령의 행진을 지휘하는 절대자였다.왕의 궁전은 금빛 회로로 둘러싸인 하나의 도시였다.그의 밑에는 여러 명의 코어 기사들이 있었다.각자는 병법과 연산의 달인이었고,왕의 명령을 받아 수많은 전투—곧 프로세스들을 병렬로 수행했다.그들의 대화는 인간의 언어가 아니었다.0과 1, 단 두 글자의 시.그 속에 우주의 질서가 숨어 있었다.2. 기억의 여왕 ― RAM왕은 홀로 기억하지 않았다.그의 곁에는 신비로운 여왕 RAM이 있었다.그녀의 궁정은 잠시 머물다..
Singleton Pattern2025.03.173class Connection { private static Connection _inst; private int count; private Connection(){ count = 0; } public static Connection getInstance(){ if(_inst == null){ _inst = new Connection(); } return _inst; } public void count(){ count++; } public int getCount(){ return count; }}public class BB { public static void main(..
Blockiness, Block Noise, Artifacts(Artefacts)2025.01.022자동 합성 코드 작업하면서 블록 현상이 발생하여 이유를 찾아보는 중 . JPEG 이미지의 복사, 합성, 재저장 과정에서 발생하는블록 현상과 블록 노이즈는 주로 반복적인 압축과 해제 과정에서 누적되는 손실 때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비손실 압축 형식을 사용하거나,압축률을 조절하고, 가능한 한 압축 단계를 줄이는 것이 중요함.또한, 최신의 효율적인 압축 코덱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https://en.wikipedia.org/wiki/JPEG JPEG 압축 과정의 이해 JPEG 이미지 압축의 기본적인 과정 - 손실 압축 방식,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면서 일부 정보가 손실됨. 색 공간 변환(Color Space Conversion):RGB 색 공간에서 YCbCr 색 공간으로 변환하여 인간의 눈에 ..
Trail of 20242024.05.022024. 09. 16.휴가 때 집에서 빡세게 놀고 나서 복귀해서 넘 피곤해서 좀 후회했다 ㅎㅎ한 달 동안 바쁘기도 하고 넘 피곤한데, 압력만 오지게 받고 보람이나 배움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알 수 있는 일과 할 수 있는 일에 한계가 느껴져서 아쉬웠다. 이번 명절에는 좀 쉬고, 지속적으로 스스로를 도울 수 있는 일들을 시작하자고 마음 먹음그대로 실행되지 않는 계획은 싫지만, 될 때까지 시도해야 하는 것들이 있으니.. 올해 이제 3개월 밖에 안 남았다 아껴 쓰자 2024. 08. 07.열심히 일한 보람도 좀 있고, 하고 싶었던 일을 하는 휴가라 즐겁다.. 얼마만의 정신적 쾌적함인지 ㅠㅠ 기쁘다 그런데 푹 빠져서 뭘 하기에 3~4일은 좀 짧은 느낌이 든다어쩌면 지금 같은 방식으로는 한 달, 일 년도 ..
[책] Python과 SQL을 활용한 실전 데이터 전처리2024.01.272"실세계에 존재하는 데이터는 때로는 값이 존재하지 않고 때로는 뒤틀려 있어 분석 알고리즘을 바로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데이터 분석 전에 반드시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한다. 데이터 전처리를 통해 비어 있는 데이터를 채우기도 하고, 잡음 섞인 데이터를 정제하기도 하고 분석하기 좋은 모양(구조)로 바꾸기도 한다. 때로는 분석할 데이터량이 너무 많아 분석 대상 데이터를 줄이거나 수많은 분석 차원에서 핵심요소만 뽑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 [목차] 머리말 여는 장 개발환경구축 제1장 데이터 전처리 개요 제2장 데이터 정제 제3장 데이터 통합 제4장 데이터 축소 제5장 데이터 변환 제6장 Case Study: 취업률 관점에서의 대학정보 부록 데이터 전처리 방법론 : 정제/통합/축소/변환 Py..
20240121 책 목록 ☞2024.01.216개인적으로 시의적절하고 맘에 드는 구성이다 ✨️ 다 기억하기도 어렵고 이해가 다 될 리도 없으니 스트레스 많이 받지 말고 이런 게 있구나 하면서 눈에 익히고 넘어가기 대신 가급적 의식을 날리지는 말고 끝까지.. 한두 번 더 읽어야 할 것 같은 책은 사자 인덱스 지성사의 가장 위대한 발명품, 색인의 역사 데니스 덩컨(지은이), 배동근(옮긴이) arte(아르테) 도판 차례 008 서문 011 1장 서열화의 취지: 알파벳순 배열에 대하여 037 2장 색인의 탄생: 설교와 교육 081 3장 그것이 없었더라면 어떻게 되었을까?: 쪽 번호가 만든 기적 133 4장 지도냐 실제 영토냐: 시험대에 오른 색인 173 5장 “토리당 녀석에게는 절대 내 『영국사』 색인을 맡기지 마오!”: 색인을 둘러싼 논쟁 209 6장 소..
UX 원칙 - UXer를 위한 101가지 원칙2023.10.113구판을 도서관에서 보고 뭐라고 했나 가볍게 보려고 빌렸는데 '원칙'답고 아는 이야기도 재미있어서 신기하다. 각 챕터 별 글이 길지 않지만 감탄스러울 정도로 쉽고 정확한 문장을 사용해서 뇌에서 사르르 녹는 기분이 든다. 글 쓰신 분과 번역하신 분들의 깊은 마음과 내공이 느껴짐 (감사합니다!) 아직 읽는 중인데, 개정판도 궁금하다. UX 원칙 - UXer를 위한 101가지 원칙 윌 그랜트 저자(글) · 심규대 번역 에이콘출판 #1 누구나 UX 전문가가 될 수 있다 #2 두 가지 이상의 서체를 사용하지 마라 #3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된 폰트를 사용하라 #4 글자 크기를 사용해서 정보 체계를 표현하라 #5 본문에는 합리적인 기본 크기를 사용하라 #6 줄임표를 사용해서 다음 단계가 있다는 것을 알려라 #7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