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ta structure 데이터 구조2023.05.292
데이터 구조 data structure 레코드(데이터)의 특성 및 레코드 간의 관계(set)를 논리적 관점에서 나타낸 구조. 이 데이터 구조에는 리스트, 배열, 트리, 그래프, 큐, 스택, 테이블, 파일 등이 있고,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 파일 간에 관련성과 각 파일 내의 항목 간의 관련성의 구조를 말한다. 데이터 개체의 집합과 그 원소들 사이에 적용되는 연산의 의미를 기술한 것으로, 이것은 특별한 프로그래밍 언어나 컴퓨터 내부의 표현 방식이 아니라, 추상적인 데이터와 그것을 다루는 연산에 대한 정의이다. 예를 들면, 레코드 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인 필드를 설치하여 그것에 관련된 데이터 요소로의 체인 어드레스 없이 포인터를 넣어놓고, 관련된 데이터 요소를 고속으로 꺼내는 것이 가능한 리스트 구조가..
이진법에서의 0.1 무한소수 오류, 간단한 십진법 이진법 설명2023.05.290.1 십진법에서는 딱 떨어지는 수인데 이진법에서는 무한소수가 됨 >>>>> 컴퓨터에 입력 시 무한히 연산하면서 오차가 조금씩 계속 남 ::: 결과값 오류남 무한소수(끝없는 소수), 순환소수 들이 오류를 일으킴 0.1 + 1.1 == 1.2 는 파이썬에서 False 나옴 10진법 표현의 다양성 0.00123 = 0.0123 * 10의 -1승 = 0.000123 * 10의 1승 = 1.23*10의 -3승 이진법의 경우 0.1 = 0.01 * 2의 1승 = 1.0 * 2의 -1승 정수 자리에 숫자 하나만 오게 하는 것을 과학적 표기법이라고 한다. 이진법 수 0.11 = 1.1*2 (과학적 표기: 이 정보를 집어넣는 게 편리하다는) 과학적 표기에서는 최대한 정확하게 표기하기 위해서 정수 부분, 실수 부분, 몇..
Floating Point 부동소수점, Heap, Stack, Overflow2023.05.29부동소수점 컴퓨터에서 실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소수점의 위치를 고정시키지 않으며 가수와 지수를 사용하여 실수를 표현한다. 가수는 유효숫자를 나타내며 지수는 소수점의 위치를 나타낸다. 부동 소수점은 (가수)X(밑수)(지수)와 같이 곱셈 형태로 표현하며, 밑수는 일반적으로 2나 10, 16을 사용한다. 실제 컴퓨터에서는 2진법을 사용하여 부호비트(1비트), 지수부, 가수부로 나타낸다. 소수점의 위치가 지수부의 크기에 따라 변경되며 소수점은 지수부와 가수부 사이에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고정 소수점 0.1을 밑수가 10인 부동 소수점으로 표현하면 0.01X101이 된다. 가수의 첫째 자리를 밑수보다 작은 한 자리 자연수가 되도록 바꾸는 것을 정규화라고 하며, 위의 수를 정규화하면 1X10-1이다...
Repository 리포지터리 리포지토리2023.05.291Repository 리포지터리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관련된 정보를 보관해 둔 데이터베이스. 정의(定義) 정보, 설계 정보, 프로그램 및 시험 결과 등의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각 공정 과정에서 발생한 정보를 축적해서 공정간에 공용하거나 궤환되도록 컴퓨터 이용 소프트웨어 공정 툴이 지원된다. 리포지토리에 격납하는 정보 모델에는 객체 지향의 모델을 채용하는 방법 외에 분산 환경에서의 개발에 대응해서 구내 정보 통신망(LAN) 서버상에 리포지토리를 두는 방법도 있다.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물리 정보 및 논리 정보를 메타 데이터라 하는데, 이 메타 데이터를 격납하는 표를 리포지토리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Repository 리포..
ASCII, Unicode, encoding, Binary2023.05.29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아스키코드 1963년 미국표준협회(ANSI)에 의해 결정되어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숫자, 문자, 특수문자 등에 부여한 7비트(Bit) 부호체계. 1963년 미국표준협회(ANSI)는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은 소형 컴퓨터를 중심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7비트 표준 부호체계를 만들어 보급하였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아스키코드이다. 아스키코드의 구성 아스키코드는 128개의 문자 조합을 제공하는 7비트 부호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 표와 같이 제어용으로 사용되는 코드를 비롯하여, 출력할 수 있는 숫자, 영문 알파벳 대소문자, 특수문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자 값..
Interpreter, Shell, CMD, TERMINAL, Prompt2023.05.27TERMINAL, Shell 명령어로 마우스 키보드로 하는 것들은 다 할 수 있다. $ 달러 표시는 터미널에 넣어야 하는 구문이라는 표시로 쓰인다. Terminal 단말(기) 단말 장치(terminal unit)와 같은 뜻으로 쓰여지고 있다. (1) 중앙의 컴퓨터와 통신 회로(communication line)를 경유하여 접속되어 있고, 그것으로부터 사용자가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장치의 총칭. 온라인 시스템(online system)을 구성하는 3요소인 「컴퓨터」, 「통신 회선」, 「단말 장치」의 하나라고도 할 수 있다. (2) 단말 장치는 은행 등에 있는 현금 자동 지급기(cash dispenser), 표의 구입이나 호텔 예약을 하는 데 쓰이는 등의 용도에 따라서 최근에 특히 종..
System Software, Applications program2023.05.27Software 소프트웨어 컴퓨터 하드웨어를 동작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명령어 집합 - 응용 소프트웨어 : 다양한 응용에 사용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된 소프트웨어들 - 시스템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 및 응용소프트웨어 중간에 위치 . 운영체제 : 하드웨어와 직접 상호작용, 프로그램에 공통적인 서비스 제공 . 유틸리티 소프트웨어 : 기본적인 활동을 수행하며 운영체제 기능을 확장시켜줌 . 언어 번역 프로그램 : 컴파일러, 어셈블러, 인터프리터 등 물리적 실체인 하드웨어의 반대어로 만들어진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뜻으로 해석되는 경우도 있으나 프로그램 자신 외에 그 프로그램 자신의 설명서, 그 프로그램에 의해 업무를 수행할 때의 사무 상의 규정이나 절차, 이들을 문서화한 설명서나 색인서도 모두 포함한 ..
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2023.05.27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효율적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통합개발환경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이다. 코드 편집기, 디버거,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등을 포함하고 개발자에게 제공한다. 통합개발환경은 개발자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과정에 필요한 모든 작업을 하나의 소프트웨어에서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초기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은 코드 편집기, 컴파일링, 디버깅 등과 같은 개발 과정을 각각의 프로그램에서 사용했으며 콘솔을 통한 개발이 불가능했다. 최초의 통합개발환경은 소프트랩(Softlab)에서 1975년에 개발된 마에스트로 I(Maestro I)이다. 다트머스대학교의 존 케메니(John Kemeny)와 토머스 커츠(Thomas Kurtz)..
DevOps2023.05.27DevOps 데브옵스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하나로, 개발(development)과 운영(operation)을 결합한 혼성어이다. 개발 담당자와 운영 담당자가 연계하여 협력하는 개발 방법론을 말한다. 시스템 개발자와 운영을 담당하는 정보기술 전문가 사이의 소통, 협업, 통합 및 자동화를 강조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을 말한다. 정확한 정의가 존재하지 않는 추상적 개념에 해당하지만, 소프트웨어 제품이나 서비스를 알맞은 시기에 출시하기 위해서 개발과 운영이 상호의존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의미로 통용된다. 이러한 데브옵스의 개념은 애자일 소프트웨어(agile software) 개발과 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등의 개념과도 관련이 있다.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은 계획과 문..